💻 CS/기타

파이썬(.py) 파일 exe 실행 파일 만들기 (PyInstaller, 주피터 노트북, ipynb)

Safetymo 2024. 1. 3. 14:02

 

파이썬으로 코딩한 파일을 exe 실행 파일로 만들고자 한다.

 

먼저, 저같은 경우는 주피터 노트북으로 작업한 파일을 실행 파일로 만들기 위해 아나콘다 프롬프트를 사용해 해당 파일을 .py 확장자로 변경 후 실행 파일을 만들었습니다.

 

일반적인 경우 명령프롬프트(cmd) 창으로 진행하셔도 상관없습니다.

 

 

 

파일 위치로 이동 및 주피터 노트북 파일 -> py 로 변경하기

 

 

아나콘다 프롬프트를 실행 후, 해당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합니다.

 

 

cd <파일위치>

 

명령어를 사용하고, 파일 위치는 폴더 위에있는 부분을 복사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 

해당 파일로 있는 곳으로 이동 후, 아래 명령어를 통해 ipynb 파일을 py로 변경해줍니다.

 

 

jupyter nbconvert --to script <파일이름>.ipynb

 

 

py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pyinstaller 패키지 다운받기

 

 

우선 실행파일로 만들기 위해서는 pyinstaller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습니다.

 

pip install pyinstaller

 

 

해당 명령어를 프롬프트에 입력해주면 다운로드 받아집니다.

 

이후 pyinstaller 를 사용해 exe 파일을 제작해주면 됩니다.

 

 

 

파이썬 파일(.py)을 실행파일(exe)로 만들기

 

 

pyinstaller 에는 여러가지 옵션이 존재하는데,

 

저같은 경우에는 콘솔창을 안보이게 하는 -w 옵션과 파일 하나로 실행이 가능하도록 -F 옵션을 사용하였습니다.

 

pyinstaller -w -F <파일명>.py

 

  1. -w 옵션 (Windowed, GUI 모드):
    • -w 옵션은 실행 파일을 윈도우즈 환경에서 GUI 모드로 실행하도록 하는 옵션입니다.
    • 이 옵션을 사용하면 콘솔 창이 나타나지 않고, 윈도우즈용 응용 프로그램처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(GUI)만 표시됩니다.
    • 실행 파일에는 필요한 GUI 라이브러리와 함께 PyInstaller와 연결된 모든 종속성이 포함되어 용량이 커질 수 있습니다.
  2. -F 옵션 (One File):
    • -F 옵션은 실행 파일을 하나의 단일 파일로 묶어주는 옵션입니다.
    • 이 옵션을 사용하면 실행 파일과 해당 프로그램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이 하나의 파일에 포함됩니다.
    • 따라서 하나의 큰 실행 파일이 생성되어 용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해당 과정을 진행하면 build와 dist 폴더, spec 파일이 생성되고, dist에 들어가면 실행파일(exe)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시간은 대략 5~10분정도 소요됐으며, 파일 용량은 600메가로 엄청 큰 편입니다. 더불어 실행시키는 데도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관련 라이브러리나 패키지가 모두 한꺼번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.

 

장점은 해당 실행파일만 있어도 프로그램은 실행이 가능합니다.